과학[25년 4월 주제]#휴머노이드로봇

여러분은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이번달 주제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종원 박사님이 설명해주시는 휴머노이드 로봇입니다. 
 

박종원박사님의 강연 영상과 인터뷰 영상을 통해서 여러분이 알고 있는, 혹은 더 궁금해진 휴머노이드 로봇과 관련한 질문을 만들어

친구들과 공유 해주세요 :)

다른 친구들의 질문에도 관심과 해결방법을 생각해보면 좋을것 같아요!



● 박종원 박사님 강의영상



● 박종원 박사님 인터뷰 영상

 
질문등록
사용자 기본 이미지
2025.04.03 0좋아요
휴머노이드여야만 하는가?
본인이 생각한 질문의 배경(이유)
휴머노이드가 로봇이 사용되는 여러 분야에서 가장 효율적인 형태인지 궁금합니다 꼭 휴머노이드의 형태가 아니여도 더 효율적인 설계가 있지는 않은지.
사용자 기본 이미지
사용자 기본 이미지
2025.04.02 0좋아요
대한민국의 로봇 발전
본인이 생각한 질문의 배경(이유)
영상에서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이 빠르게 발전 되었다고 말씀하셨는데, 중국은 어떻게 해서 10년만에 큰 발전을 이루어냈고, 10여년전 로봇 대회에서 우승한 대한민국은 잘 발전하지 않았는지 알고 싶습니다. 또 저희가 빠르게 발전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었인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사용자 기본 이미지
사용자 기본 이미지
2025.04.02 0좋아요
로봇의 효율적인 형태
본인이 생각한 질문의 배경(이유)
로봇 공학이 발전하면서 여러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생산 단가나, 전기 소모량, 지구력 등의 방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형태가 휴머노이드인지, 아니면 다른 형태일지 알고 싶습니다.
사용자 기본 이미지
사용자 기본 이미지
2025.04.02 0좋아요
휴머노이드의 적응력
본인이 생각한 질문의 배경(이유)
생태모방에서 주변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능력을 중요하게 보는데, 식물들과 다르게 휴머노이드와 같은 동물형 로봇은 형체를 바꾸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로봇은 주변 환경 변화에 있어 형체를 변화시키는 것 대신에 무슨 행동 알고리즘을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용자 기본 이미지
사용자 기본 이미지
2025.04.02 0좋아요
생체모방 로봇 기술의 발전
본인이 생각한 질문의 배경(이유)
휴머노이드 로봇도 생체모방 기술처럼 사람의 형태, 이동방식을 모방한 로봇인데, 그렇다면 인간이외에 동식물을 모방하여 로봇에 적용하는 기술이 현재 무엇이 개발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사용자 기본 이미지
사용자 기본 이미지
2025.04.02 0좋아요
휴머노이드 로봇이 상용화되기 위한 가장 큰 과제는?
본인이 생각한 질문의 배경(이유)

강의 영상에서도 말씀해주셨다시피, 휴머노이드 로봇은 최근 기술 발전으로 다양한 요소에서 개선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개발해야할 부분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구조의 하드웨어, 무게 등을 견딜 수 있는 소재, 사회적인 협의 등등...

이러한 장애물들 중에 현재로서 가장 해결하기 어렵거나, 돌파하였을 때 폭발적으로 관련 기술 분야가 발전할 수 있는 도전과제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그리고 해당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사용자 기본 이미지
사용자 기본 이미지
2025.04.02 0좋아요
만약 휴머노이드가 인간 수준의 감정을 "진짜로" 느낀다고 주장한다면, 우리는 이를 인정해야 할까요?
본인이 생각한 질문의 배경(이유)
휴머노이드 로봇이 점점 더 발전하여, 인간까지의 감정을 느끼게 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만약 휴머노이드가 인간 수준의 감정을 진짜로 느낀다고 주장하면, 인간은 이를 인정해야할까, 인정하지 말아야할까? 인정한다면 그 후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지, 인정하지 않는다면 휴머노이드와 인간 사이에는 어떤 갈등이 생길지 궁금하다.
사용자 기본 이미지
김태호님 사진
2025.04.01 0좋아요
기존 휴머노이드 로봇의 구동 방식(유압, 전기 모터)의 단점을 극복하고, 더 효율적이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하드웨어 설계 방식은 무엇인가?
본인이 생각한 질문의 배경(이유)
기존 휴머노이드 로봇의 유압 및 전기 모터 기반 구동 방식은 제어 정밀도, 에너지 효율, 기계적 복잡성 측면에서 한계를 보입니다. 유압 시스템은 고압 유체 제어의 어려움과 10~20%의 낮은 에너지 효율16을, 전기 모터는 경직된 움직임과 인간 관절의 유연성 재현 부족7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사용자 기본 이미지